는 것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기존 지분 인수 부담 없이 신규 자금 투입을 통해 곧바로 지배권을 확보할 수 있으며 홈플러스를 조사보고서상 청산가치인3조7000억원수준으로 평가해 인수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홈플러스가 보유한 4조8000억원규모의 부동산 자산을 활용해.
투입을 통해 곧바로 지배권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게 된다"며 "인수자는 홈플러스를 조사보고서상 청산가치인 약3조7000억원수준으로 평가하며 인수하는 것이 가능해졌다"고 덧붙였다.
회생실무상 M&A시 최소한 청산가치 이상으로는 기업가치가 정해져야.
"기업가치 7조원이지만3조7000억원평가로도 인수 가능""부동산 담보 활용으로 차입 여력 약 2조원" 홈플러스는 새 인수자가 부동산 담보 등을 활용할 경우 1조원미만으로도 인수가 가능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신규 자금 투입을 통해 곧바로 지배권을 확보할 수 있다”고 했다.
이어 “인수자는 홈플러스를 조사보고서상 청산가치인 약3조7000억원으로 인수하는 것이 가능하다”며 “회생실무상 M&A 시 최소한 청산가치 이상으로는 기업가치가 정해져야 한다.
홈플러스는 "자사의 기업 가치는 7조원이지만 대주주인 MBK파트너스가 보통주 투자에 대해 권리를 주장하지 않으면서3조7000억원으로 인수가 가능하다"며 "실제 투입 자금은 1조원미만일 것"이라고 8일 밝혔다.
홈플러스는 서울회생법원이 지정한 조사위원인.
효과를 얻게 된다는 게 회사 측의 분석이다.
홈플러스는 새로운 인수자 나타나면 채권자의 동의를 확보할 가능성도 높다고 했다.
전체 채권 규모가 2조9000억원(회생채권 약 2조7000억원)인데 인수자가 홈플러스의 기업가치를3조7000억원으로 평가해서 인수한다면.
전세 낀 아파트’에 비유하면서까지 인수 후보자 찾기에 나섰다.
홈플러스는 시장에서 “홈플러스 매각가는 청산가치인3조7000억원이상이어야 한다”는 소문이 돌아 인수 의향자가 나타나지 않는다고 판단해 ‘전세 낀 아파트’에 비유하면서 인수 후보자 찾기에.
동기(4조원) 대비 1조3000억원증가했다.
주요 기초자산별로는 코스피200(4조1000억원),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500(3조7000억원), 유로스톡스50(3조4000억원), 니케이225(1조4000억원) 순이었다.
특히 홍콩 H지수 사태의 영향으로 코스피200 비중이 70.
기업가치는 7조원으로 평가되고 전체 부채 중에서 즉시 상환이 요구되는 채권은 2조5000억∼2조7000억원수준"이라고 설명했다.
홈플러스가 이처럼 전세 낀 아파트에 비유하며 회사 매각에 적극적으로 나선 것은 매각가가 청산가치인3조7000억원을 웃돌 것이라는.
2조5000억원에 달하는 보통주 투자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지 않기로 결정했다“며 “인수자는 홈플러스 청산가치인 약3조7000억원수준으로 평가하며 인수하는 것이 가능해졌다”고 강조했다.
홈플러스는 약 4조8000억원규모의 부동산 자산에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